전체 글 96

[생활코딩] WEB2 CSS. 선택자와 속성

1. HTML 문법에 태그를 추가하는 것 2. CSS 해석할 수 있는 정보를 가지고 있는 기존 태그와 달리 (ex. - 링크 정보, - 제목이라는 정보) 디자인 태그(ex. font)는 어떤 정보도 가지고 있지 않다. 정보가 아닌 디자인 코드가 섞이면 웹페이지가 정보로서의 가치가 현격히 떨어진다. 유지보수적으로도 CSS 코드가 분리되는 것이 훨씬 용이하다. CSS와 HTML은 완전히 다른 문법의 언어. 1번째 방법. style 태그 활용 태그를 head 안에 넣어준다. CSS 문법에 맞게 해석해주라고 요청하는 것. CSS를 통해 중복된 코드를 단 하나의 코드를 통해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독성도 좋다. a { } 누구에게 적용할지 선택한다는 의미에서 선택자 = selector color:black..

[생활코딩] WEB1 마무리 + 코드의 힘 + 웹사이트 파비콘 추가하기

프론트엔드 엔지니어 [HTML / CSS / JavaScript] 웹페이지를 꾸미는 CSS는 HTML이 만들어지고 4년 후 등장.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JavaScript는 HTML이 만들어지고 5년 후 등장. 백엔드 엔지니어 PHP JSP Nodejs Express Python Django Ruby on Rails ASP.net 이 기술들은 서로 경쟁관계에 있고, 이 중에 하나를 공부하면 된다. 코드의 힘 : 동영상 첨부 DISQUS 서비스 / LiveRe 서비스 : 웹페이지 하단에 댓글 추가 - GET STARTED > I want to install Disqus on my site > 무료 Basic 버전 클릭 > > 나오는 코드 복사해서 웹사이트 코드 내부 원하는 위치에에 붙여넣기. disqus가..

[생활코딩] web. 웹서버 운영하기

웹브라우저가 제품명이 아니라 제품군인 것처럼, 웹서버 제품군에도 여러 제품들이 있다. Apache IIS Nginx 이 중에서 우리가 사용할 소프트웨어는 아파치. 무료이고, 가장 꾸준히 많이 쓰이는 웹서버이다. 생활코딩에서는 혹시 미래에 해당 운영체제가 사라질 수도 있으니 늘 스스로 검색해서 찾아보는 습관을 권해주신다. 추천 검색어 : how to install apache http server (운영체제 이름 - Window / Mac ) 2021 how to easy install apache http server birtnami를 통해 apache 서버를 활용해보기로 한다. 검색 : bitnami wamp stack https://bitnami.com/stack/wamp/installer Insta..

비전공자 개발자인 내가 개발을 하고 싶은 이유

(비전공자) 개발자, 나의 이야기 오늘은 솔직하게 나의 이야기를 털어놓으려 한다. 앞으로 내가 걸어갈 길에서 개발자라는 능력치가 짙어질수록 비전공자라는 그 앞의 형용사는 희미해지겠지만, 지금으로서는 선명한 "비전공자"라는 수식어가 내 앞에 자리잡고 있다. 이걸 지워가는 것은 내가 얼마나 열심히 공부하고 성장하느냐에 달려있겠지. 그래서 취업을 준비 중인 지금으로서 가장 많이 받는 질문도 바로 "전공이 국문과이신데 어떻게 개발 쪽으로 발을 돌리게 되셨어요?" 하는 질문이다. 면접 때는 시간 관계상 길게 나열하지 못하는 이야기들을 이번에 나의 블로그에 적어보려고 한다. 누구나 인생에 암흑기라고 불리는 시기가 있을 것이다. 나에게는 졸업 직후의 시간들이 그러했다. 나의 전공이었던 국문, 그리고 부전공이었던 미디..

오늘의 이야기 2021.06.05

[생활코딩] 서버와 클라이언트, 웹호스팅

링크를 통해서 서로 결합되어 있는 웹페이지들의 그룹 = 웹사이트(web site) 인터넷이 도시라면 웹은 도시 위에 있는 건물 하나 인터넷이 도로라면 웹은 도로 위를 달리는 자동차 한 대. 인터넷이 운영체제라면 웹은 운영체제 위에서 동작하는 하나의 앱. 1960년은 인터넷이 탄생. 1990년에는 웹 시작. Internet 1960년, 핵전쟁이 끝난 지 얼마되지 않은 시기. 미국에서는 핵공격이 일어났을 때 통신시스템에 심각한 취약점이 있다는 것을 발견. 당시에는 통신 시스템이 중앙집중적이었기 때문에 핵공격을 당하면 통신이 마비되는 위험이 있었던 것. 이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 분산된 형태의 통신시스템을 구상하게 되는데 그것이 인터넷의 시작. 정보 기업들을 묵묵히 지탱하는 거대한 인프라 = 인터넷. WEB..

조코딩 추천 코딩 학습사이트

학습 사이트도 괜찮으시다면 추천드리겠습니다. 배울 수 있는 곳이 정말 많지만 저는 아래 사이트들을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1. 생활코딩 : 한글로된 영상으로 차근차근 기초부터 배우고 싶으시다면 "생활코딩" 강의를 추천드립니다. 강사님이 설명을 정말 잘해주시고 모든 강의가 무료입니다. HTML: https://opentutorials.org/course/3084 CSS: https://opentutorials.org/course/3086 Javascript: https://opentutorials.org/course/3085 2. CodeCademy : 영어로 되어있긴 하지만 개념 정리와 함께 미션을 통해 바로 실습을 하며 익힐 수 있어서 빠르게 배울 수 있습니다. 이것도 일부 기능을 제외하고 HTML CS..

[생활코딩] 웹. 태그와 속성

웹페이지 (결과) / html 언어 코드, 소스 (원인) 내가 만들고 싶은 페이지 생각하면서 수업 따라가기 ! utf-8로 구성된 문서이니 utf-8로 문서를 읽으라는 문자규칙. https://www.advancedwebranking.com/html/ The average web page from top twenty Google results Apparently, an average web page uses thirty-two different element types: The thirty-two elements used on most pages, ordered by appearance frequency: www.advancedwebranking.com 가장 많이 쓰이는 태그들. p vs br h => ..

[생활코딩] 웹. 코딩과 HTML - Atom 에디터 환경설정까지

생활코딩을 통해 처음부터 차근차근 개념을 되짚어나가려고 한다. 막상 시작하니까 그 흐름이 너무 체계적이고 탄탄해서 홀린듯 쭉 영상을 보며 정리를 해나가고 있다. 사람이 하는 일 = 원인 부호 또는 신호라는 의미의 코드 (code), 원천이라는 뜻의 소스 (Source), 약속이라는 의미에서 언어 그 중에서 컴퓨터 언어. 기계가 하는 일 = 결과 애플리케이션 (줄여서) 앱, (한국어로) 응용 프로그램, 프로그램 웹에서는 결과를 웹 페이지, 웹페이지가 모여있으면 웹사이트. 기능이 좀 많으면 웹애플리케이션 (=웹앱) 즉, 원인인 코드를 통해서 결과를 만든다는 것이 코딩을 이해하는 핵심. 웹페이지를 만드는 코드 = HTML. 웹 : 퍼블릭 도메인(Public Domain) 팀 버너스 리는 웹을 어떠한 저작권도 ..

[코딩시대] 코드, 미래를 지배하는 언어 -(2) 마음가짐

컴퓨터 과학을 심각하게 배우려고 프로그래밍을 시작한 건 아니었어요. 간단하게 뭔가를 만들고 싶은 것이 생겼기 때문에 시작하게 된 겁니다. 저나 저의 형제 자매들이 좋아할만한 뭔가를 만들고 싶었어요. 조그마한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나서 조금씩 수정해나갔죠. 그리고 뭔가 배울 필요가 생기면 책이나 인터넷을 찾아봤어요. 그리고 조금씩 더 계속 추가해나갔어요. 대학 기숙사 방에서도 뭔가를 시작할 수 있고, 사업을 해본 적 없는 사람들이 한데 모여서 함께 수억 명의 삶을 바꿀 수 있는 무엇인가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해보세요. 진짜 끝내주는 일이죠. 그렇지 않아요? 놀라운 일이에요. - 마크 주커버그(페이스북 창립자) 누구나 좋은 아이디어 한 가지씩은 가지고 있을 겁니다. 세상을 바꿀 아이디어일 수도 있고, 본인의 인..

[코딩시대] 코드, 미래를 지배하는 언어 -(1) 용어 정리

그동안 학원 공부, 언어 공부에 몰두하느라 개발 관련 서적을 많이 읽지 못했는데 이제 여유가 나서 읽는 책들의 내용이 하나같이 너무 좋다. 5개월간 휘몰아친 개념들을 차근차근 정리할 수 있는 소중한 시간. 너무 조급해 하지 않고 차근차근 나의 길을 걸어가보려 한다. 취업에 대해 걱정이 되더라도 당장 내가 할 수 있는 몫을 잘 하면서 길을 걸어나가다 보면 내가 원하는 목적지에 도달해 있을 거라고 믿는다. 하루하루는 열심히, 인생 전체는 되는대로. 이동진 평론가님의 말씀처럼 살아가보자! 그냥 방향을 잃지만 말자 [책에 나온 개념 정리] 변수 변수는 값을 넣는 그릇이다. 프로그래밍할 때 계속 변하는 것이 있다면 이를 변수라는 그릇에 담아준다. 이 그릇에 어떤 값을 담을 것인지 알려주는 과정 = 변수를 지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