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opentutorials.org/course/228/1450
도메인이란? - 생활코딩
IP란?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장치(컴퓨터, 스마트폰, 타블릿, 서버 등등)들은 각각의 장치를 식별할 수 있는 주소를 가지고 있는데 이를 ip라고 한다. 예) 115.68.24.88, 192.168.0.1 도메인(domain)이란?
opentutorials.org
- IP란?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장치(컴퓨터, 스마트폰, 타블릿, 서버 등등)들은 각각의 장치를 식별할 수 있는 주소를 가지고 있는데 이를 ip라고 한다. 예) 115.68.24.88, 192.168.0.1
- 도메인이란?
ip는 사람이 이해하고 기억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를 위해서 각 ip에 이름을 부여할 수 있게 했는데, 이것을 도메인이라고 한다.
- opentutorials.org -> 115.68.24.88
- naver.com -> 220.95.233.172
- daum.net -> 114.108.157.19
도메인 : 서비스가 운영되고 있는 컴퓨터(서버)를 식별하기 위한 단위 (~~~.com 까지만)
URL : 서버에서 운영되고 있는 다양한 컨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 (~~.com/new/어쩌구)
=> 도메인 + 경로
예를 들어서 https://s3.ap-northeast-2.amazonaws.com/opentutorials-user-file/module/121/298.png가 있을 때
도메인 : opentutorials.org
URL : https://s3.ap-northeast-2.amazonaws.com/opentutorials-user-file/module/121/298.png
네임서버란
네임서버(DNS: Domain Name Server)는 대표적으로 IP 주소와 도메인 주소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인터넷 주소창에 도메인을 입력할 때 도메인 등록 시 지정된 네임서버를 통해 해당 도메인과 연결된 IP 주소를 확인하여 연결하게 됩니다.
: 도메인에 해당하는 ip를 알려주는 서비스
(https://opentutorials.org/course/228/1455)
IP 주소 = 네트워크 주소 + 호스트 주소
- 예시: 192.168.1.1/24
- 서브넷마스크: 24bit(8x3)만큼 사용 => 255.255.255.0
- 네트워크 주소: 처음 24bit 192.168.1 => 192.168.1.0
- 0은 모든 주소를 포함 (192.168.1.5, 192.168.1.6, ...)
- 호스트 주소: 나머지 8bit .1
- IP 주소: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를 합친 것 => 192.168.1.1
- https://velog.io/@moorekwon/IP-%EC%A3%BC%EC%86%8C-vs-%EB%84%A4%ED%8A%B8%EC%9B%8C%ED%81%AC-%EC%A3%BC%EC%86%8C-vs-%ED%98%B8%EC%8A%A4%ED%8A%B8-%EC%A3%BC%EC%86%8C
IP 주소 vs 네트워크 주소 vs 호스트 주소
17년 8월 작성된 아래 글을 참고하였습니다.https://itsaessak.tistory.com/174IP 주소(IPv4)32bit 길이로 구성된 논리적인 주소체계형태는 xxx.xxx.xxx.xxx (2진수로 표기시 8x4 = 32개)하나의 IP 주소에 네트
velog.io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ltehoc&logNo=220840545215
사이트 IP주소 확인하기!
요약 : nslookup (주소입력) -------------------- <ip주소 -="" dns="" 도메인주소=""> 우리가 주소창...</ip주소>
blog.naver.com
[DB]Domain, Data Dictionary
Domain 이란 엔티티의 속성들이 가질 수 있는 값들의 집합으로, 관계형 이론에서 도메인은 실제로는 구현이 어렵기 때문에, 대부분의 DBMS에서 도메인이란 속성에 대응하는 컬럼에 대한 데이터 타
velog.io
DB에서의 도메인 : 도메인은 속성이 취할 수 있는 값의 집합이다
- 도메인이란 하나의 속성이 취할 수 있는 동일한 타입의 원자값들의 집합이다.
- 임의의 속성에서 취할 수 있는 값의 범위가 SQL에서 지원하는 전체 데이터 타입의 값이 아니고 일부분일 때, 사용자는 그 값의 범위를 도메인으로 정의할 수 있다.
- 정의된 도메인명은 일반적인 데이터 타입처럼 사용한다.
CREATE DOMAIN MyAbc VARCHAR(10) CONSTRAINT MyAbcTest CHECK(VALUE IN (‘A’, ‘B’, ‘C’));
CREATE DOMAIN SEX CHAR(1)s
DEFAULT '남'
CONSTRAINT VALD-SEX CHECK (VALUE IN('남'.'여'));
CREATE DOMAIN 도메인명 데이터_타입
[DEFAULT 기본값]
[CONSTRAINT 제약조건명 CHECK (범위 값)];
출처: https://all-record.tistory.com/61 [세상의 모든 기록]
Domains
Type 과 비슷하지만 말 그대로 정의역을 의미함
Domain 자체적으로 NOT NULL 과 같은 constraint 를 지닐 수 있음
CREATE DOMAIN MyAbc VARCHAR(10) CONSTRAINT MyAbcTest CHECK(VALUE IN (‘A’, ‘B’, ‘C’));
검색해보니 mysql은 create domain이 안되는 것 같다.
ENUM('A', 'B') 이런 식으로 ENUM을 넣어줄 수는 있다.
http://www.gurubee.net/lecture/2872
도메인의 개념을 이해하자
데이터 모델링 관점에 있어 도메인(Domain)은 데이터 표준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다. 도메인이 체계화 및 표준화되지 않으면 물리 모델 구..
www.gurubee.net
도메인 지식 :
도메인 지식, 정의역 지식, 분야 지식은 특정한 전문화된 학문이나 분야의 지식으로, 보편 지식, 도메인 독립 지식과는 반대의 뜻을 지닌다.
'오늘의 이야기 > 지식 충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foo, bar의 어원을 찾아서 (0) | 2021.09.07 |
---|---|
[ Failed to save 'app.js': User did not grant permission.]권한 permission 문제로 저장이 안 될 때 (0) | 2021.09.05 |
[DB] 데이터 모델링의 3요소, 속성, 엔티티, 릴레이션, 관계, 어트리뷰트 (0) | 2021.09.02 |
SSH Protocol이란 : 시큐어 셸 프로토콜 (0) | 2021.09.02 |
CMD 사용할 때 (0) | 2021.08.30 |